양성과정으로 연세대를 강력 추천하는 이유는 이미 몇 차례 밝힌 바와 같이 이수 후 한국어 교육능력 검정시험 대비 특강 및 1년에 한 번씩 연세대 교수님과 함께하는 워크숍 때문이다.
10월 말, 이번에도 어김없이 2차 면접 시험 특강이 열렸고, 10시 시작이라 청주에서 7시 차를 타고 올라가야 하지만 다녀왔다. 작년에 시험 본 분들께서 팁들을 공유해주셨다. 시험이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한 설명도 듣고, 공부한 사계도 듣고 여러 모로 의미 있었다. 나는 면접 대비 책도 있었고, 기관에서 나온 기출문제도 가지고 있었는데, 기출문제를 다시 정리해서 주셨고, 특히 2018년 면접을 본 양성과정 수료생들이 직접 작성한 기출문제도 얻을 수 있었다. 와우...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2차 면접시험 후기는...
"나 말 왤케 못해?"
이다.
너무 자만했었나 싶기도 했고. 힝.
서울은 한 타임당 100명이 대기하고, 시험장도 4군데라고 그러던데 대전은 인원이 얼마 안돼서 그런가 한 타임당 11명 대기에 시험장도 1군데였다. 이틀 동안 110명 정도 보는 듯했다.
9일, 10일 이틀간 시험을 보는데 나는 9일 맨 처음 8시 30분까지 입실이었다. 1차 합격자 발표가 나고 10월 30일에 큐넷에서 수험표를 다시 출력하면 본인의 날짜와 시간을 알 수 있다.
도대체 몇 시에 출발해야 하는 것인지.
6시 30분, 대전 가는 첫차를 타고 대전에 도착했다. 대전 복합터미널에서 시험장인 한국산업인력공단까지 이동하는 시간도 걸리기 때문에 여유 있게 출발한다고 출발했는데 8시 15분에 도착했다.
8시 30분이 되어 감독관이 들어왔고, 11명 중 10명 응시. 번호는 제비뽑기였다. 헐. 나 10번. 그 말인즉슨 1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대기해야 한다는 뜻인데... 좀 더 공부할 수 있으니 다행인 건지 원.
공부할 때 비교 문법 위주로, 교수법 위주로 공부했다. 특히 비교 문법. 생각에 정말 어려운 것은 안 나올 것 같아서 겹쳐지는 면접 기출문제만이라도 제대로 하자는 생각에 반복해서 봤던 것 같다.
첫 문제.
평가의 종류 중 성취도 평가와 숙달도 평가를 설명하시오.
아놔. 나중에 보니 2018년도 면접 기출문제에 딱 있던데 문법 문제가 아니라서 패스했던. 그래도 8월에 시험 볼 때 공부했던 것을 잘 기억하여, 대답을 했다. 나중에 반대로 대답했을 까 봐 얼마나 조마조마하던지. 그래도 타당도, 구인도가 안 나와서 다행이다.
두 번째 문제.
아서/어서 와 니까이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이건 모 단골 문제니까 답을 잘했어야 했는데... 했는데... 용어를 선택하는데 머릿속이 복잡해져서... 선행 절, 후행 절, 제약, 청자, 화자 까지도 먼저 나오는 말, 듣는 사람, 어쩌고 저쩌고 다 섞였다... 답은 맞는데 설명이 개떡... ㅠ
세 번째 문제.
신입교사에게 기관의 역할, 경력 교사의 역할.
나 여기서 그냥 대답했어야 했는데 기관 자체의 역할인지, 경력 교사의 역할인지 어느 것을 이야기하는 거냐며, 역할의 대상이 누구냐고 다시 물어봄.... 그래서 결국은 두 가지가 질문... ㅋㅋ
아.
아는 것과 그것을 잘 표현하는 것은 다르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고 왔다.
버벅거리는 나를 보며 면접관들이 외운티가 난다고 생각하면서 점수를 낮게 주면 어쩌지 하는 걱정이 든다. 대답하는 것만 연습 안 해서 그리 공부 많이 했는뎁... ㅠㅠ
평이한 문제가 나와서 다행이다.
그래도 이번에 절실히 깨달은 것은 여러 불규칙들을 내가 잘 모르고 있더라. 이제부터 열심히 공부해야지...
나름 엄청 마음의 짐이었는데 끝나서 얼마나 다행인지...
우선 끝난 것에 의의를 두고, 이제 제쳐두었던 일들 시작...
아... 5일 동안 저 두꺼운 '담론'을 읽을 수 있을 것인가...
'한국어선생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 교구 제작엔 역시 코팅기가 있어야! (내돈내산) (0) | 2021.12.07 |
---|---|
방과후강사/외부강사/시간제강사 경력증명서 발급하기 (0) | 2021.12.07 |
2019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후기 (feat.할 말 많은 한국문화) (0) | 2021.01.30 |
2018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후기 부제:얻은 것 (0) | 2021.01.30 |
한국어교원 자격증 취득 기준 (0) | 2021.01.30 |